Ubuntu 14.04.2 LTS 에서 16.04.05 LTS 로 업그레이드 진행
·
Linux
1. 설치 된 패키지 업그레이드 현재 설치 된 버전의 모든 패키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 # sudo apt-get update è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 # sudo apt-get upgrade è 설치 된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# sudo apt-get dist-upgrade è 의존성 변경과 관련 된 업그레이드 진행 2. do-release-upgrade 도구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 진행 먼저 update-manager-core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 # sudo apt-get install update-manager-core do-release-upgrade 명령을 실행하여 업그레이드를 진행합니다. # sudo do-release-upgra..
ROOT DNS 가 13개인 이유
·
이것저것
최상위 네임서버는 전세계에 13개가 존재한다.13개가 넘어가면 512바이트를 넘어 TCP 재전송 요청이 발생하므로 13개만 존재한다.빠른 응답과 안정성을 위해 국내에도 여거 ROOT 미러가 존재한다.** DNS 문의에 대한 답변이 512byte를 넘는 경우 UDP 프로토콜이 아니라 TCP 프로토콜이 응답을 한다. 이는 MTU 최소치인 576byte, DNS 패킷으로는 512byte 를 넘어버리면 경로에 따라 패킷이 분할된다. 1패킷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RFC1035에서 512byte 이하의 응답 패킷으로 제한한다고 규정한다., 그래서 512byte를 넘는 경우 TCP 프로토콜이 응답한다 ** Why 13 DNS root servers?https://miek.nl/2013/november/10/why-1..
Disk mapper 구성 (RHEL 6.10)
·
Linux
- OS : RedHat Enterprise Linux Server release 6.10 (Santiago)- Kernel :2.6.32-431.29.2.e16 1. 현재 상태 -이중화 구성으로 동일 디스크가 2개로 보이고 있는 상태 ( 총 3개의 디스크를 묶을 예정 )# fdisk -lDisk /dev/sdb: 4295.0 GB, 4294967296000 bytes255 heads,63 sectors/track, 522166 cylindersUnits =cylinders of 16065 * 512 = 8225280 bytesSectorsize (logical/physical): 512 bytes / 512 bytesI/O size(minimum/optimal): 512 bytes / 512 byte..
W3C 로깅 필드
·
Windows
IIS W3C 로깅 필드 설정 시 참고 날짜(date): 요청이 수행된 날짜입니다.시간(time): 요청이 수행된 UTC(협정 세계시) 형식의 시간입니다.클라이언트 IP 주소(c-ip): 요청을 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입니다.사용자 이름(cs-username): 서버에 액세스한 인증된 사용자의 이름입니다. 익명 사용자는 하이픈으로 표시됩니다. 서비스 이름(s-sitename): 요청을 처리한 사이트 인스턴스 번호입니다.서버 이름(s-computername): 로그 파일 항목이 생성된 서버의 이름입니다.서버 IP 주소(s-ip): 로그 파일 항목이 생성된 서버의 IP 주소입니다.서버 포트(s-port): 서비스에 대해 구성된 서버 포트 번호입니다. 메서드(cs-method): GET 메서드 등의 요청된 ..
가상화 환경에서 CPU 사용량 모니터링
·
가상화(VMWare, Hyper-V)
Hyper-V Host 서버 설치 후 리부팅을 하게 되면 해당 Host 서버도 Parent Partition 의 가상 서버로 인식을 하게 때문에CPU 사용량 모니터링 시 정확한 값이 나오지 않음.- Host 서버의 Processor Time 측정 시 해당 서버가 사용하는 CPU 사용량이 표시 됨. Processor Information(_Total)\% Processor Time - 일반적인 물리서버 CPU 사용량 확인 시 사용 (CPU Core 가 늘어나면서 Processor (_Total)\% Processor Time 보다 정확한 값을 제공) Hyper-V Hypervisor Logical Processor(_Total)\% Total Run Time - 가상 서버 + Parent OS가 사용하는 ..
UMA & NUMA
·
이것저것
UMA : Uniform Memory Access - 균일 기억 장치 접근 - 모든 프로세서들이 상호간에 연결되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는 기술 -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의 어느 영역 이던지 접근이 가능하며, 모든 프로세서가 걸리는 시간이 동일하다 - 구조가 간단하고, 프로그래밍 하기는 쉬우나, 메모리에 한번에 하나씩의 연결만 가능하여, 커지면 커질수록 효율성이 떨어진다. NUMA : Non-Uniform Memory Access - 불균일 기억 장치 접근 - UMA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, 더 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구성 - 메모리 접근하는 시간이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