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MA & NUMA

2016. 10. 31. 10:27·이것저것
  • UMA : Uniform Memory Access
    - 균일 기억 장치 접근
    - 모든 프로세서들이 상호간에 연결되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는 기술
    -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의 어느 영역 이던지 접근이 가능하며, 모든 프로세서가 걸리는 시간이 동일하다
    - 구조가 간단하고, 프로그래밍 하기는 쉬우나, 메모리에 한번에 하나씩의 연결만 가능하여, 커지면 커질수록 효율성이 떨어진다.

  • NUMA : Non-Uniform Memory Access
    - 불균일 기억 장치 접근
    - UMA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, 더 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구성
    - 메모리 접근하는 시간이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.


    



'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vscode에서 github 연동
  • git과 github 설치 및 연동
  • IaaS, PaaS, SasS 차이
  • ROOT DNS 가 13개인 이유
기억보다는 기록을...
기억보다는 기록을...
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글..
  • 기억보다는 기록을...
    메모장
    기억보다는 기록을...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클라우드(Azure, AWS)
      • 모니터링(Zabbix,Grafana)
      • 가상화(VMWare, Hyper-V)
      • Docker
      • Ansible
      • Linux
      • Windows
      • 이것저것
      • SQL
      • -------------------------
      • 재테크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2
기억보다는 기록을...
UMA & NUMA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