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aaS, PaaS, SasS 차이
·
이것저것
IaaS 는 OS 설치 전까지의 VM 환경을 구성 해 주고PaaS 는 개발자가 운영할 수 있는 운영 환경까지 구성을 해주고SaaS 는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모든 환경을 제공해 준다. ** IaaS ( Infrastructure as a Service ) - Infrastructure 레벨을 제공하는 서비스 ( VM Hosting ) - 서버, 스토리지,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IT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아 사용 - Amazon 의 EC2 ( Amazon Elastic Computer Cloud ) 서비스가 사용하는 방식 ** PaaS ( Platform as a Service ) - 개발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플랫폼 및 환경을 제공하는 ..
ROOT DNS 가 13개인 이유
·
이것저것
최상위 네임서버는 전세계에 13개가 존재한다.13개가 넘어가면 512바이트를 넘어 TCP 재전송 요청이 발생하므로 13개만 존재한다.빠른 응답과 안정성을 위해 국내에도 여거 ROOT 미러가 존재한다.** DNS 문의에 대한 답변이 512byte를 넘는 경우 UDP 프로토콜이 아니라 TCP 프로토콜이 응답을 한다. 이는 MTU 최소치인 576byte, DNS 패킷으로는 512byte 를 넘어버리면 경로에 따라 패킷이 분할된다. 1패킷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RFC1035에서 512byte 이하의 응답 패킷으로 제한한다고 규정한다., 그래서 512byte를 넘는 경우 TCP 프로토콜이 응답한다 ** Why 13 DNS root servers?https://miek.nl/2013/november/10/why-1..
UMA & NUMA
·
이것저것
UMA : Uniform Memory Access - 균일 기억 장치 접근 - 모든 프로세서들이 상호간에 연결되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는 기술 - 프로세서들은 메모리의 어느 영역 이던지 접근이 가능하며, 모든 프로세서가 걸리는 시간이 동일하다 - 구조가 간단하고, 프로그래밍 하기는 쉬우나, 메모리에 한번에 하나씩의 연결만 가능하여, 커지면 커질수록 효율성이 떨어진다. NUMA : Non-Uniform Memory Access - 불균일 기억 장치 접근 - UMA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, 더 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구성 - 메모리 접근하는 시간이 프로세서와 메모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