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yper-V 게스트 OS에 고정 IP 사용하기

2023. 1. 4. 12:00·가상화(VMWare, Hyper-V)

Hyper-V 게스트 OS에 고정 IP를 설정하더라도 호스트 서버가 리부팅 되면 가상 스위치 vEthernet (Default Switch) 에 할당 된 IP 대역이 변경되어 통신이 불가능 해짐.

어떤 설정을 하더라도 리부팅이되면 vEthernet (Default Switch) 설정 정보가 초기화 됨.

해당 문제를 해결하리면 별도의 가상스위치를 생성해서 게스트 OS에 할당하면 됨.

 

구성 환경

  • OS 버전: Windows 10 ( 10.0.19044 빌드 19044 )
  • Hyper-V 버전: 10.0.19041.1
  • PowerShell 버전: 5.1.19041.2364

 

가상 스위치 생성

    PS C:\WINDOWS\system32> New-VMSwitch -SwitchName "스위치이름" -SwitchType Internal

생성 된 스위치 확인

 

NAT 게이트웨이 구성

    PS C:\WINDOWS\system32> New-NetIPAddress -IPAddress <NAT Gateway IP> -PrefixLength <NAT Subnet Prefix Length> -InterfaceIndex <ifIndex>

 

 

NAT 네트워크 설정 

    PS C:\WINDOWS\system32> New-NetNat -Name <NATOutsideName> -InternalIPInterfaceAddressPrefix <NAT subnet prefix>

스위치 구성 시 Internal 타입으로 생성을 해서 NAT 설정을 해 줘야 외부와 인터넷 통신이 됨.

이 후 생성 된 스위치를 게스트 OS에 할당하고 고정 IP를 설정해서 사용하면 됨.

 

참고: 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virtualization/hyper-v-on-windows/user-guide/setup-nat-network
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'가상화(VMWare, Hyper-V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Hyper-V 가상 스위치 외부 네트워크를 wifi로 사용 시 문제점 (유선 사용 시 문제 없음)
  • CPU 가상화 지원 여부 확인 (CentOS)
  • 가상화 환경에서 CPU 사용량 모니터링
기억보다는 기록을...
기억보다는 기록을...
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글..
  • 기억보다는 기록을...
    메모장
    기억보다는 기록을...
    • 분류 전체보기
      • 클라우드(Azure, AWS)
      • 모니터링(Zabbix,Grafana)
      • 가상화(VMWare, Hyper-V)
      • Docker
      • Ansible
      • Linux
      • Windows
      • 이것저것
      • SQL
      • -------------------------
      • 재테크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2
기억보다는 기록을...
Hyper-V 게스트 OS에 고정 IP 사용하기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